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8

환경스님은 누구인가? 임환경(林幻鏡 1887~1983)스님의 초명은 재수(在修)요, 호는 환경당(幻鏡堂)이다. 1887년 경남 합천군 가야면 마장동에서 출생하여 8세에 李東光(松齌)으로부터 四書를 사사(師事)받고, 13세 되던 해 입산하여 가야산 백련암에서 연응(蓮應)스님을 스승으로 佛家에 몸을 담았는데, 16세 전후에 이미 신동(神童)으로 신필(神筆)로 명성이 자자하였다. 일제 강점기를 겪으며 친일승을 앞세운 일제의 침탈에 맞선 해인사 수호와 독립운동에 앞장 섰고, 해방직후 서울 중앙포교사 재임시절엔 김법린 총무원장과 효당 최범술(曉堂 崔凡述) 총무부장과 함께 많은 신도와 불자에게 불교문학사상을 일깨워 전수하기 위해 불교대학인 동국대학을 구성하였고, 해인사를 최초로 총림(叢林)으로 구성하여 “해인총림(海印叢林)” 현판글씨는.. 2022. 9. 30.
길지여행 (가야산 만수동의 2길지(吉地)) 스포츠서울 1992.08.17 ‘한국풍물 新 사진기행 여기는 별천지 “가야산 만수동”편의 기사를 옮겨온 것입니다. 매화.비계.구곡산속 천혜의 2명당 매화낙지형(梅花落地形) : 지금까지 박사 3명 탄생...앞으로"명인"4명 더 비학하전형(飛鶴下田形) : "5대에 걸쳐 높은 벼슬 배출" 무학대사 예언 가야산 남쪽에 그 주위가 200리요 그 안에 만수동이 있으니 가히 만명이 살아갈 수 있는 보길십승지라고 했다. 북쪽으로 매화산을 주산으로 비계산,구곡산 등으로 둘러싸인 분지인데 동쪽에 덕곡재가 유일한 통로이다. 이 분지내를 통틀어 만수동이라고 하는데 이 만수동에는 두 곳의 명기(명당)가 있다고 한다. 그 명기중 하나는 "매화낙지형(梅花落地形)이요 또 하나는 "비학하전형(飛鶴下田形)이라고 한다. 매화낙지형(梅花落.. 2022. 9. 30.
가천리(加川里) 더내마을 생성 유래 1. 더내(加川) 지명의 유래오랜 옛날, 자주 발생하지만 마땅한 대응수단이 없는 화재는 큰 재앙이었기에 남산 제일봉의 소금단지 처방 처럼 풍수설에 기반해 화를 피하고 불안한 민심을 위로 하는 사례가 많았다. 마을 앞에서 정면을 바라보면 한밭마을 뒷산의 우뚝 솟은 봉우리의 산세는 불이 타오르는 화산(火山)형상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마을에 화재가 자주 일어 난다 하여 마을 앞에 연못을 파고 위쪽엔 수로를 만들어 시냇물 일부를 마을 한가운데로 돌아 흐르도록 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마을 이름도 내(川)를 더(加)하는 것이 좋다고 하여 '더내'로 불리어 왔다는게 정설이며, 일제 강점기 때 지명을 등록하면서 한문식 이름인 가천(加川)으로 행정구역 명칭이 정해졌다. 지형의 형상(새터천,안심천,더내천)을 따서 불.. 2022. 9. 29.
십승지(十勝地) 가야산 만수동(萬壽洞) 오랜 세월 전란과 조정혼란,가뭄,홍수 등의 환란을 겪으면서 조선 중기이후 민간의 관심을 모았던 예언서(豫言書) 정감록은 국가 운명과 위기 발생시 안전한 피난처로 십승지를 말하고 있다. 외부에서 그 속을 들여다 보기도 접근 하기도 어려운 격리된 오지이면서도 식수와 식량 등을 자급자족할 수 있는 곳으로, 보은 속리산, 안동의 화산, 남원의 운봉, 전북 부안의 호안, 무주의 무풍, 강원도 영월, 경북 예천, 충남 계룡산, 합천의 가야산(만수동), 경북 풍기의 차암 금계촌이 그 곳이다.가야산 만수동(萬壽洞)에 대해서는 임진왜란 전후로 회자되던 길지로 가야산 밑 남쪽에 둘레 200여리 가량의 萬壽洞이 있다는 민간의 기록이 있을 뿐,  정확한 위치에 대해서는 논쟁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구글 3D 지도나 하늘에서.. 2022. 9.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