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학하전형2 길지여행 (가야산 만수동의 2길지(吉地)) 스포츠서울 1992.08.17 ‘한국풍물 新 사진기행 여기는 별천지 “가야산 만수동”편의 기사를 옮겨온 것입니다. 매화.비계.구곡산속 천혜의 2명당 매화낙지형(梅花落地形) : 지금까지 박사 3명 탄생...앞으로"명인"4명 더 비학하전형(飛鶴下田形) : "5대에 걸쳐 높은 벼슬 배출" 무학대사 예언 가야산 남쪽에 그 주위가 200리요 그 안에 만수동이 있으니 가히 만명이 살아갈 수 있는 보길십승지라고 했다. 북쪽으로 매화산을 주산으로 비계산,구곡산 등으로 둘러싸인 분지인데 동쪽에 덕곡재가 유일한 통로이다. 이 분지내를 통틀어 만수동이라고 하는데 이 만수동에는 두 곳의 명기(명당)가 있다고 한다. 그 명기중 하나는 "매화낙지형(梅花落地形)이요 또 하나는 "비학하전형(飛鶴下田形)이라고 한다. 매화낙지형(梅花落.. 2022. 9. 30. 가천리(加川里) 더내마을 생성 유래 1. 더내(加川) 지명의 유래오랜 옛날, 자주 발생하지만 마땅한 대응수단이 없는 화재는 큰 재앙이었기에 남산 제일봉의 소금단지 처방 처럼 풍수설에 기반해 화를 피하고 불안한 민심을 위로 하는 사례가 많았다. 마을 앞에서 정면을 바라보면 한밭마을 뒷산의 우뚝 솟은 봉우리의 산세는 불이 타오르는 화산(火山)형상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마을에 화재가 자주 일어 난다 하여 마을 앞에 연못을 파고 위쪽엔 수로를 만들어 시냇물 일부를 마을 한가운데로 돌아 흐르도록 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마을 이름도 내(川)를 더(加)하는 것이 좋다고 하여 '더내'로 불리어 왔다는게 정설이며, 일제 강점기 때 지명을 등록하면서 한문식 이름인 가천(加川)으로 행정구역 명칭이 정해졌다. 지형의 형상(새터천,안심천,더내천)을 따서 불.. 2022. 9. 29.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