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더내(加川) 지명의 유래
오랜 옛날, 자주 발생하지만 마땅한 대응수단이 없는 화재는 큰 재앙이었기에 남산 제일봉의 소금단지 처방 처럼 풍수설에 기반해 화를 피하고 불안한 민심을 위로 하는 사례가 많았다. 마을 앞에서 정면을 바라보면 한밭마을 뒷산의 우뚝 솟은 봉우리의 산세는 불이 타오르는 화산(火山)형상이라고 한다.
이 때문에 마을에 화재가 자주 일어 난다 하여 마을 앞에 연못을 파고 위쪽엔 수로를 만들어 시냇물 일부를 마을 한가운데로 돌아 흐르도록 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마을 이름도 내(川)를 더(加)하는 것이 좋다고 하여 '더내'로 불리어 왔다는게 정설이며, 일제 강점기 때 지명을 등록하면서 한문식 이름인 가천(加川)으로 행정구역 명칭이 정해졌다. 지형의 형상(새터천,안심천,더내천)을 따서 불리운 지명으로 추정하는 설도 있는데, 이주 경로상 '내(川)가 하나 더(加) 있는 곳'이란 뜻에서 유래했다는 설이다.
2. 부락의 형성
어릴적 부락 인근에서 발견된 자연 철광석이나 고령토가 출토되는 지질 등으로 볼 때, 제철기술이 발달하였던 대가야(BC42~562년)시절부터 인근에 민가가 있었을 것으로 추정이 가능하다. 부락 위쪽 넓은 평지형의 '사기평년'은 지금도 큰 비가 오면 지표면에 노출되는 사기 파편들을 볼 수 있어 년대 미상의 도요지(陶窯址)가 분명하고 학계의 연구가 필요한 곳이다.
조선조 중엽 임진왜란(1592~1598년) 전후로, 정감록(鄭鑑錄)에 언급된 십승지지(十勝之地) 중 가야산 만수동(萬壽洞)으로 알려진 숭산 방면으로 타지에서 많은 사람들이 유입되었고, 여러 자연부락들이 크게 형성되어 오늘에 이른 것으로 보고 있다. 가천리 마을도 이 시기에 피란민인 마씨들이 처음 들어와 마을을 형성하였고, 그 후 전의 이씨와 광산 김씨가 동시에 이주해 와 살아 온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더내,지모,덕방의 3개 부락으로 구성되어 있고 본동이 더내마을이다. 십승지의 풍수지리적 지형상 더내마을 위치는 만수동(萬壽洞)의 핵심 부락이라 할 수 있다.
60년대까지 서당이 운영되어 인근 마을 학동들이 함께 수학했던 배움의 중심지였고, 50여 가구가 격동의 세월 속에서도 서로 도우면서 삶을 이어 온 마을이었다. 화기(火氣)를 누르기 위해 조성한 마을 앞 연못은 메워져 마을회관 부지로 변했으며, 한때는 대통령의 외가마을로 세인의 관심을 받기도 했고, 마을 안 도랑(수로)은 도로 폭을 넓히기 위해 덮여졌다.(伽川)
3. 주요 지명
○ 사기평년 : 더내마을 북편 산중턱의 경사진 평지 (도요지로 추정되며 지금도 사기그릇 파편이 지표면에서 출토되고 있다)
○ 절뒤골 : 사기평년 위쪽의 산골짝 (절터로 전해지는 석축의 흔적이 남아있다)
○ 괭이밭골 : 제일봉 남편 능선에 괭이처럼'ㄱ'자 형태로 생긴 큰 바위가 서 있는데 이를 괭이바위라 하고 그 아래 골짜기를 괭이밭골'이라 불렀다. 전설에 의하면, 절뒤골에 '해인사'절(사찰)이 먼저 있었는데 화재가 자주 나자 괭이바위의 괭이 방향이 지금의 해인사 쪽(치인리)으로 돌아서 버렸고 이를 따라 '해인사'절도 치인리(현재 해인사 위치)로 이전하였다 한다
○ 안심이 : 더내마을 서북쪽 골짝(산과 함께 내를 끼며 길게 계단식 논밭이 널려 있으며,수행승의 임시거처 '無無庵(무무암) 이란 가건물이 있다)
○ 서제궁 : 더내마을 남서쪽 아래의 논들 (서제(書齊)가 있었다고 전해진다)
○ 쇠똥마루 : 더내마을 서남쪽의 야트막한 산마루, 대가야시대의 야철지로 추정되는 지명이다.
○ 뒤꼬랑 : 지모동과 더내동 중간에 위치한 야산 일대
○ 덕방마을 : 가천 동남쪽 마을로 임진왜란 때 피난민이 들어와 이뤘다 한다
○ 만수봉 : 만천봉.
○ 만천봉 : 덕방동 북동쪽에 있는 산. 임진 왜란 때 피난터 였다고 함
○ 장수바위 : 덕방동 뒷산에 있는 큰 바위로 옛날 어느 장수가 남겼다는 장수 발자국과 쇠지팡이 자국이 남아 있다.
○ 통지미골 : 이니미 동쪽에 있는 바위산 골짜기로 王씨 성의 화전민 한 가구 있었던 깊은 골짜기
○ 이니미 : 석계동 북편에 있는 골짜기
4. 전설/명소
(1) 해인사 위치와 관련한 '절뒤골'과 '괭이바위'전설
(2) 대규모 도요지로 추정되는 '사기평년'
(3) 임진왜란 피난처 만천봉
(4) 비학하전형(飛鶴下田形)의 길지(吉地), 密陽朴氏 묘소
(5) 수령 약4백년의 노거수 느티나무 (2002년 보호수 지정)
'향토 역사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김굉필과 소학당(小學堂) (1) | 2022.10.04 |
---|---|
대가야의 멸망과 월광태자(月光太子)의 비밀 (1) | 2022.10.04 |
환경스님은 누구인가? (1) | 2022.09.30 |
길지여행 (가야산 만수동의 2길지(吉地)) (1) | 2022.09.30 |
십승지(十勝地) 가야산 만수동(萬壽洞) (1) | 2022.09.29 |